View

node 실행 옵션


난 총 3개의 노드를 구성했고 3개의 노드를 static_nodes로 연결하였다. 그리고 각각의 노드의 실행 옵션은 다음과 같다.

  1. 첫번째 노드 실행
  • nohup geth --networkid 201951281022 --nodiscover --datadir . --maxpeers 3 --rpc --rpcaddr "0.0.0.0" --rpcport 3016 --rpccorsdomain "*" --rpcapi "admin,db,eth,miner,net,shh,txpool,personal,web3" --port 30000 --allow-insecure-unlock 2>> ./geth.log &
  1. 두번째 노드 실행
  • nohup geth --networkid 201951281022 --nodiscover --datadir . --maxpeers 3 --rpc --rpcaddr "0.0.0.0" --rpcport 3017 --rpccorsdomain "*" --rpcapi "admin,db,eth,miner,net,shh,txpool,personal,web3" --port 30001 --allow-insecure-unlock 2>> ./geth.log &
  1. 세번째 노드 실행
  • nohup geth --networkid 201951281022 --nodiscover --datadir . --maxpeers 3 --rpc --rpcaddr "0.0.0.0" --rpcport 3018 --rpccorsdomain "*" --rpcapi "admin,db,eth,miner,net,shh,txpool,personal,web3" --port 30002 --allow-insecure-unlock 2>> ./geth.log &

일단 Web3.js를 사용하기 위해선 JSON_RPC 포트를 열어야한다.

 

나는 사설 IP를 구성해서 사용하므로 포트포워딩을 통하여 각각의 포트를 3016, 3017, 3018로 구성했다.

 

그리고 이번 포스팅의 목적인 sendTranscation을 하기 위해서는 해당 노드의 --unlock 옵션을 줘야하지만 해당 옵션을 주게되면 오류가 발생한다.

 

이건 보안 업데이트로 인하여 기존 unlock account default가 변경되었다고 한다.

 

아마 기존에 --unlock 0 옵션을 주었던 분들은 아마 위의 에러가 발생하면서 실행이 안될 것이다.

 

방법은 간단하게 노드 실행시 다음과 같은 옵션을 주면 된다.

  • --allow-insecure-unlock

그리고 추가적으로 리눅스에서 노드 3개 실행시에 옵션을 더 추가해야할 때 ps로 하나하나 죽이지말고 다음 명령으로 한번에 죽일 수 있다.

  • killall -9 [processname]

 

web3로 sendtranscation 하기


먼저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한다.

//Node1의 Account 잠금 해제하기
web3.personal.unlockAccount(account,'123');
console.log("unlock Account default sucess");

/*Node1의 account[0]이 Node2의 account[0]에게 송금하는 Transcation발생시키기*/

//Node2의 account[0] public Key(address)
let toAddress  = "0xade48d02c948834bd6c5e006b0e3c3024c3e11e7"

//보낼 금액
let sendAmount = web3.toWei(10, 'ether');

let txHash = web3.eth.sendTransaction({
    from: account,
    to: toAddress,
    value: sendAmount
});

console.log(txHash);

코드를 간단하게 정리해보자면 먼저 무분별한 transcation발생을 막기 위하여 이더리움은 기본적으로 sendtranscation기능을 잠가둔다. transcation을 발생시킬 account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해제한다.

 

  • web3.personal.unlockAccount(account,'123');

그리고 sendtransaction에 보내는 account의 address와 받는 account의 address의 주소를 담고 보낼 금액을 적어 transaction을 발생시킨다. transaction 발생 시키면 아래 그림과 같이 해당 transactiond의 해쉬값이 나온다.

 

 

맨 아래 부분이 발생시킨 transaction에 대한 hash값이다.이 hash 값을 이용하여 transaction을 추적할 수 있다.

geth attach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transaction을 추적한다.

 

  • eth.getTranscation("transcation의 hash값")

위 그림을 보면 blocknumber와 blockhash가 null인걸 볼 수 있다. 그 말은 아직 mining이 안되어 체인에 연결이 안되있기 때문이다.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마이닝을 시작한다.

 

  • miner.start()

마이닝이 정삭적으로 작동하여 체인에 연결이 된다면 blocknumber와 blockhash값이 주어진다.

 

우리는 node1의 0번째 account에서 node2의 0번째 account에 10eth를 전송했기 때문에 node2의 account[0]을 확인 해 본다.

 

transaction을 발생시키기 전


transaction이 성공적으로 마이닝된 후


4680에서 4700으로 바뀐 이유는 내가 transaction을 두번 발생시켰기 때문이다.

 

'Block Chain > Ethereu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EVM 구조  (0) 2020.12.09
[Web3.js] Smart Contract 배포  (0) 2020.12.09
[Geth] Private Block Chain 구성  (0) 2020.12.09
[환경설정 3탄] Geth 실행 옵션  (0) 2020.12.09
[환경설정 2탄] Geth 초기 설정  (0) 2020.12.09
Share Link
reply
«   2025/01   »
1 2 3 4
5 6 7 8 9 10 11
12 13 14 15 16 17 18
19 20 21 22 23 24 25
26 27 28 29 30 31